튀르키예 대지진, 7천km 떨어진 韓 문경·강릉 지하수위 상승

지질자원연구원 국외지진 연구현황 발간 한국 9분50초 만에 지진동 감지

지난 2월 튀르키에 대지진으로 국내 지하 수위에도 변화가 있었다는 분석 보고서가 나왔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KIGAM 국외지진 연구 현황’을 발간했다. 이미지는 국내에서 감지된 지진동. [사진=한국지질자원연구원]

2월 6일 테유루키에 대지진으로 많은 피해자가 발생한 가운데 2번의 강진시 지표 파열 흔적을 분석한 위성 자료가 나왔다. 국내 지하수 관측망 중 문경과 강릉 지하 수위 변화도 감지됐다. 한국 지질 자원 연구원(원장 이·표은그)은 테유루키에 대지진의 발생으로 한반도에서 관측된 지진동과 지하 수위 변화, 지표 변형, 국외 주요 지진 연구 현황을 담은 연구 보고서”KIGAM국외 지진 연구 현황”을 13일 발간했다고 이날 밝혔다.테유루키에 지진 때, 지질 자원 연구원 지질 재해 연구 본부에서 운영하는 광대역 관측소 모두에서 지진동이 감지됐다. 특히 한국에 제일 먼저 도착한 P파는 지진 발생 후 약 9분 50초경 흰색翎섬에서 관측됐다. 지진동은 북, 동쪽으로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를 보였다. 이는 한반도의 지각 하부가 균일하지 않은 것을 추론할 수 있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지하 수위의 변화는 지진 발생 후 약 11분 9초에 확인됐다. 지질 자원 연구원 지하수 환경 연구 센터 11곳의 지하수 관측망 중 문경과 강릉 관측선에서 감지됐다. 규모 7.8의 본진 시기, 문경은 약 7cm강릉은 약 3cm의 지하 수위 상승이 확인됐다. 리히터 규모 7.5의 여진에는 문경 관측 정만으로 지하 수위가 3㎝하강했다. 이를 통해서 리히터 규모 7.5이상의 지진 발생시에는 7000킬로 이상 떨어진 국내 지하수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분석됐다.지질 자원 연구원 지질 재해 연구 본부는 ESA(유럽 우주국)에서 운용 중인 Sentinel-1의 위성 자료를 활용하고, 영상 레이더 간섭 기법을 적용하고 지표 변위를 관측했다. 그 결과 동 아나토리 안 단층 지표 파열 남부(A구간)에서는 최고 고. 8미터, 북부(B구간)에서는 최대 5.7미터, 챠닥 단층(C구간)에서는 최대 6.3미터의 수평 변위가 측정됐다. 단층에 수직인 40km거리에 의한 수평 방향 지표 변위는 최대 3.4m/4.6m/6.5m의 변형이 나타났다. 지진 발생 전과 비교하고 동 아나토리 안 단층의 북서부 지괴는 남서쪽으로 이동해 남동부 지괴는 북동쪽으로 이동하는 왼쪽 수향 변위가 관찰됐다. 특히 동 아나토리 안 단층의 어느 지점에 대해서 단층을 가로지르는 변위 단면 분석 결과 약 6.6m의 수평 변위가 발생했고 이 가운데 절반인 3.5m은 단층선 상에서는 없는 수백 m이상의 단층 주변부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스모모 다이구(이·표은그)원장은 “이번 분석 결과는 국외 선진 지진 연구 그룹과 거의 일치한다. 향후, 한국의 위성을 활용한 분석도 준비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